모든 창문이 밀폐되어 있어도 공기가 탁하지 않고 바깥 공기중 쾌적하고 따뜻한 기운만이 목재를 통하여 실내에 들어와 자연과 함께 숨쉬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저희가 작업하다가 다른분들을 만나면 "어디서 나무향이 난다?"라는 애기를 종종 듣고는 합니다. 실제로 구조재에서는 많은 양의 피톤치드가 지속적으로 방출되기때문에 저희도 모르게 몸에 향이 배이는 겄이죠. 관리자는 수십년을 앓던 아토피 피부염이 말끔하게 사라졌답니다.
보수가 요구되는 부위에 한하여 부분적으로 보수공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도 목조주택만의 장점입니다.
예를 들면 벽체내의 하나의 샛기둥만이 교체되어야 하는 경우 큰 공사가 필요없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의 경우 벽체일부의 결함으로 벽체 전체를 새로이 공사해야하는 것에 비하면 목조의 편리함을 알 수 잇습니다. 구조변경도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모조주택은 회재에 취약하다???
목조주택하면 흔히 화재의 위험성을 연상합니다. 그러나 실제 내화재(석고,MG 보드)의 사용, 목재와 불을 차단시키는 공법으로 화재에도 안전성이 있으며 일정치수 이상의 목재는 강철보다 열전도율이 휠씬 낮기 때문에 화재시 불이 쉽게 붙지 않으며 유독가스 발생율이 적어 인명피해가 적습니다. 이를 증명한 여러 자료가 있으나 우리나라는 아직 콘크리트가 대세여서 그런지 잘알려지지 않고 있는 현실이 아쉽네요.
목조주택은 공사기간이 짧고 연중 언제나 지을 수 있읍니다.
골조가 규격화 되어있고 콘크리트가 최소로 사용 되기 때문에 8~10주 정도면 입주가 가능합니다. 또한 겨울철에도 공사가 가능합니다.
목조주택은 내구성이 강합니다.
콘크리트 건물의 평균 내구년수는 약 50년이 되며 주거용 건축물의 10년-20년 사이가 내구년한에 해당됩니다. 그러나 목조주택은 평균 내구년수가 100년 이상이며 보수유지를 철저히 하는 경우는 300년 이상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완벽한 시공이 뒷받침 되어야 가능하겠지요. 실제로 우리나라에 전해져오는 고건물들은 수백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그 원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지난 숭례문 화재때 타지 않은 부재를 재사용 하고있는 뉴스를 확인 하실 수 있으실겄입니다. 수백년간 몇 대째 물려가며 살 수 있는 주택은 오직 목조에서만 가능합니다.
적정하게 시공된 목조주택은 에너지 효율이 매우 좋습니다.
스터드, 장선, 지붕과 천정 사이의 중공을 유리섬유나 울 등과 같은 단열재로 하고 가스가 충진 시스템 창호를 사용하여 매우 높은 단열성능을 발휘하게 됩니다. 제가 과거에 청소 대행업을 하던 시절에 아파트나 빌라에 가보면 결로 현상 때문에 습기가차서 엄청난 곰팡이들을 닦아내느라 고생했던 기억이 납니다. 목조일을 하면서 이런 현상을 한번도 보지 못했읍니다. 가장 자부하는 부분중 하나가 바로 이부분 입니다. 여러 건축주분들도 만족하시는 부분이고요. "에어컨, 보일러 괜히 설치 했네"라고 말씀하시는 경우도 있읍니다. 목재는 그 자체로 단열 및 보온성이 뛰어난 건축재로 목조주택인 경우 단열 및 보온처리가 거이 완벽합니다. 목구조의 벽체, 바닥 또는 천장구조에는 구조부재들 사이의 공간이 있으며 이 공간에 구조부재와 동일한 두께만큼 단열재료를 채우는 것으로 간단히 공사를 마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미국 임산물협회에서 이미 1966년 1년 동안 실험한 결과 목조주택이 철근 콘크리트조 주택에 배해 연평균 23%(여름엔 30%)의 에너지 절약효과를 발표하였읍니다.
목조주택은 조적조, 콘크리트와는 달리 설계가 무궁무진하고 제약이 없읍니다.
우리가 상상하는 집, 꿈속에서 그린 집이 그대로 현실화 될 수 있읍니다. 어떠한 구조라도 간단한 설계에 의하여 그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읍니다. 따라서 설계과정의 경비가 최소화 될 수 있으며 자신이 살고 싶은 집을 원하는 대로 지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읍니다.
목조는 집을 지을 경우 구조부재가 공간을 차지하는 면적이 적습니다.
따라서 다른 소재주택보다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으며 때로는 구조부재가 외장, 내장재의 역할도 겸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공간면적을 적게 차지합니다.
이외에도 많읂 장점이 있읍에도 아직 보급이 저조한 탓에 부유층의 세컨 하우스나 펜션등 영업용으로만 활용되고있는 현실이 아쉽읍니다. 선진국들 대다수의 경우 대부분의 주택이 목조로 지어지고 있다는 사실이 무었을 의미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