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택의 공간별 특성주택 시공시 목구조주택의 공간계획에 따른 고려사항을 나열하였습니다. 자신과 가족에 맞는 알맞는 주택 공간 계획을 통해 적절한 예산과 스타일에 맞는 주택을 계획하시기 바랍니다.1. 주택의 평면적 구성주택의 공간 계획에 있어 첫 단계로 평면구성이다.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방향설정, 주택의 규모 및 동선을 고려하여 평면구성을 계획한다. 기본형으로 매스형, L형, T형, U형 등이 있으며 평면계획에서 일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점은 평면이나 지붕 형태를 지나치게 변화를 주어 공사비가 상승되지 않도록 주의하며, 현관, 포치, 차고, 발코니 등의 부가적 요소를 첨가시키어 주택의 형태적인 변화를 연출하도록 한다.2. 주택의 지붕형태목구조주택의 지붕형태는 경사지붕이 주종을 이루는데, 그 이유는 다양한 지붕형태를 만들 수 있고 누수처리가 용이하고 지붕 속을 다락방으로 활용하거나 실내천장을 경사천장으로 계획하여 공간의 변화를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 기후조건으로는 지붕의 처마를 가능한 길게 함으로써 비틀어짐이나 직사광선의 차단효과를 얻을 수 있다.경사지붕의 종류로는 박공지붕, 모임지붕 및 한 방향 경사지붕의 세 종류로 분류된다. 지붕의 마감재료로는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슁글과 기와를 사용하며, 목재슁글이나 금속제품 등이 고급 주택에서 사용되고 있다. 지붕 속의 환기를 위한 구조는 단열효과에 도움이 되므로 필히 설치토록 한다.3.주택의 외벽재외벽 마감재 목재널(Wood Siding)이 가장 오래된 목구조주택의 외벽재로 사용되며, 적삼목 사이딩이 가장 좋은 제품이다. 최근에는 합성목제품이나 합판 및 보드류의 사이딩 제품이 개발되어 있어 실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외에는 자연의 멋을 살린 우드 쉐이크와 유지관리가 편한 알미늄이나 비닐 제품의 사이딩도 있다. 벽돌이나 벽돌 타일을 외벽재로 사용하면 집 분위기가 중후한 멋이나고 스타코 마감은 경제적이면서도 다양한 색상과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 주택형태에 따라 벽난로 굴뚝, 현관포치 혹은 저층부 외벽 등에 벽돌이나 돌을 부분적으로 섞어 쓰면 색다른 입면의 변화를 줄 수 있을 것이다.목재널에는 오일스테인 칠을 하여 목재를 보호하도록 하고 건축주의 개성과 주변 주택과의 조화를 감안하여 페인트 색을 선정하도록 한다. 특히 지붕색과 조화를 감안하여 페인트 색을 선정하도록 한다.4. 주택의 창문주탹에서 창문 · 문창의 기능은 실내에서의 채광. 환기 그리고 조망이다. 목구조주택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창은 목재창인데 실내에서의 목재 질감을 느낄 수 있어서 좋다. 실용성을 생각한다면 비닐창이 경제적이다.
목구조주택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스템 창은 기능성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미관이 수려한 장점을 갖고 있다. 창틀에 유리까지 끼워있고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후레싱까지 부착되어 있어 창틀설치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종류로는 미서기창(Sliding)와 오르내리창(Double or Single Hung) 및 여닫이 창이 주로 사용 되고 있고 피봇창(Plvot) , 호퍼창(Hopper), 고정창(Flxed), 루바(Louver) 등이 있다.
주택에서의 창은 외관 계획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커튼이나 브라인드와 함께 주택 공간의 계획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5. 주택의 문현관문은 주택의 첫 인상을 좌우하기 때문에 공간 계획에 있어 마지막이면서도 첫 번째처럼 고려하도록 한다. 대부분 고급 제품이면 해결될꺼라 생각하지만 디자인과 색상에 있어서 주택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표현 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현관문의 재질은 목재문, 화이버문, 철문 등이 있고 현관문 양편에 옆창(Sidelite)을 설치하거나 비나 직사광선을 차단 시켜주는 포치를 설치하면 현관의 고급화와 인지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